본문 바로가기
일상 상식 정보

설날 차례상 간단하게 차리는법

by 씽씽이맘 2024. 2. 9.
반응형

 

 

안녕하세요. 2월 10일은 설날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명절행사입니다. 이날이 되면 오랜만에 고향으로 내려가 가족들이 다함께 차례상을 지내기 맛있는 음식들을 먹곤 하는데요, 오늘은 설날을 맞이하여 간단한 차례상 차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역마다 또 집안마다 조금씩 차례상 차림이 다를 순 있지만 표준 기준을 바탕으로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법

병풍을 놓는 위치

 

차례상의 기본 원칙은 병풍이 쳐진 신위(信委,지방)이 있는 쪽을 북쪽을 향해,

제주(帝主)가 상을 바라보았을 때 신위의 오른쪽이 동(洞)이 되고 왼쪽이 서(西)가 된다.

 

 

1열~5열 음식 놓는 위치 알아보기

 

신위가 모셔져 있는 곳을 기준으로 1열에서 5열로 차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밥,숭늉,국등은 신위를 모시는 수에 맞게 준비하며 명절같은 경우엔 떡국, 송편등을 대신하기도 한다.

밥은 흰쌀밥을, 국은 맑은 소고기뭇국을 주로 올리며 이때 밥그릇과 국그릇은 모두 덮개로 덮어준다.

상은 신위(信委,지방)이 있는 쪽을 기준으로 1열- > 밥,국(명절엔 떡국,송편 등) / 2열 -> 구이,전 /  3열 -> 탕 / 4열 -> 나물,김치,포 / 5열 -> 과일,과자 등이 올라가는데 이를 좀 더 자세히 정리해서 알아보자

 

-신위에서 가장 가까운 첫 번째 줄에는 수저, 밥, , 국을 놓는다.
- 두 번째 줄에는 서쪽에서부터 국수, (기름에 부친 것),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두부 부친 것), 어적(생선 구운 것), 떡을놓는다.
- 세 번째 줄에는 육탕(육류), 소탕(두부,채소류), 어탕(어패류) 등 세 종류의 탕을 놓는다.
- 네 번째 줄에는 포,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 순으로 올린다.
- 다섯 번째 줄에는 과일이 올라간다.

 

그 외 알아야할 사항

 

례상에 올리는 술은 맑은 술을 준비하며, 보통 법주를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나물은 색이 다른 3가지(보통 시금치,도라지,고사리 무침)를 한 접시에 담는다. 차례상에 생선을 올릴 경우 '삼치, 꽁치' 등 '-치'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는데, 이런 종류의 생선들은 흔하고 저렴하다고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보통 우럭같은 생선을 많이 올리기도 하며 과일 종류중에서는  복숭아처럼 털이 있는 과일은 쓰지 않으며, 보통 사과,배,바나나 등의 흠집이 없는 알이 크고 실한 종류로 올려 놓는다.

 

 

반응형